우리나라 국민 3명 중 1명이 당뇨라는 통계가 있을 정도로 당뇨병 환자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평소에도 혈당을 조절해야 하는 이유는 당뇨를 예방하고 당뇨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이러한 대비가 늦어질수록 당뇨가 발병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공복혈당 정상수치를 확인하여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오늘은 공복혈당 정상수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복혈당 정상수치
혈당 수치는 크게 시기 별로 공복 시, 식후 2시간을 나눠서 보고 당화혈색소로도 측정할 수 있습니다. 공복혈당 정상수치는 70 ~ 199mg/dL이며 당뇨병으로 진단하게 되는 수치는 공복혈당 126mg/dL 초과, 식후 혈당 200mg/dL초과입니다.
당화혈색소 검사는 시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아무 때나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한 평균 혈당수치가 6.5%를 넘게 되면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공복혈당>
진단기준 | 공복혈당 |
정상판정단계 | 70~100mg/dL |
당뇨전단계 (공복혈당장애) |
101~125mg/dL |
당뇨전단계 (내당능장애) |
101~125mg/dL |
당뇨판정단계 | 126mg/dL 이상 |
<식후 2시간 혈당>
진단기준 | 식후 2시간 혈당 |
정상판정단계 | 70~140mg/dL |
당뇨전단계 (공복혈당장애) |
70~140mg/dL |
당뇨전단계 (내당능장애) |
141~199mg/dL |
<당화혈색소 검사>
진단기준 | 당화혈색소 |
정상판정단계 | 4.0~5.7% |
당뇨전단계 (공복혈당장애) |
5.8~6.4% |
당뇨전단계 (내당능장애) |
5.8~6.4% |
당뇨판정단계 | 6.5% 이상 |
다만, 한 번의 측정으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일시적인 증상일 가능성이 있으니 일정 기간 동안 꾸준히 측정한 결과를 통해서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혈당의 중요성
혈당이란 혈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포도당을 의미합니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 일정한 양의 혈당이 유지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혈당 조절 능력이 떨어져서 기준치 보다 높은 상태가 지속된다면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혈당수치는 당뇨를 진단하고 관리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매우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최근 서구화 된 식습관으로 인해 많은 분들이 당뇨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는 만큼 당뇨병 환자는 물론이며 일반인들도 혈당 정상수치는 꼭 알아두고 체크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뇨를 예방하기 위한 생활습관
당뇨병 환자는 물론이며 당뇨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이요법과 운동은 필수입니다. 다만 당뇨병으로 인해 심한 고혈당의 경우 약, 주사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 당도가 높은 음식, 고지방식, 탄수화물 위주의 식단은 자제합니다.
- 채소류를 즐겨하며 모든 음식은 싱겁게 섭취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 유산소 운동이 권장되며 근력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에너지 소비에 효율적입니다.
- 새벽, 식사 전에는 저혈당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운동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식사 30분 ~ 1시간 후에 적절한 유산소 운동을 시행합니다.
- 운동은 1주일 3회 이상, 매 1시간 이상 한 번에 몰아서 하기보다는 꾸준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 만약 치료를 위한 약물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약물 사용 후 60 ~ 90분 이내에는 운동을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꾸준한 운동과 식이요법은 비만을 감소시키고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여 혈당 관리에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약물의 반응성을 좋게 하여 치료를 도울 수 있습니다.